
산림기술자 교육기관을 운영 지정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보여주는 법령입니다. 관련 법령으로는 산림기술자 교육기관의 지정기준(제8조제2항 관련) - 산림기술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2] 이 있습니다.
구분 | 강의실(㎡) | 실습림(㎡) | 전임강사(명) | 전담직원(명) |
종합교육기관 | 300 | 300,000 | 3 | 3 |
전문교육기관 | 100 | - | 2 | 2 |
1. "종합교육기관"이란 산림기술 교육에 필요한 교육훈련 시설과 인력을 갖추고 산림자원의 조성ㆍ육성 및 이용, 산림보호 등 산림기술 분야에 대한 10개 이상의 교육과정이 개설된 기관을 말한다.
2. "전문교육기관"이란 산림기술 중 특정분야에 대한 교육훈련 시설과 인력을 갖춘 기관을 말한다.
3. 강의실과 실습림은 교육기관이 소유하거나 교육기관으로 지정되는 기간 동안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전임강사"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가.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술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나.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사의 자격을 갖춘 후 6년 이상 산림 관련 분야에서 강의한 경력이 있는 사람
다. 대학에서 산림 관련 분야의 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람
라. 대학에서 산림 관련 분야의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3년 이상 산림 관련 분야에 종사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마. 산림 관련 분야의 전문학사 학위, 학사 학위 또는 법령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으로서 해당 학력을 취득한 후 6년 이상 산림 관련 분야에서 강의한 경력이 있는 사람
5. 연간 교육실적이 5천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5천명당 전임강사 1명을 추가하여야 한다.
'법령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의사 응시 자격 (0) | 2022.09.30 |
---|---|
산림기술자 배치기준 (1) | 2022.09.30 |
산림기술용역업의 등록 요건 및 업무 범위 (1) | 2022.09.30 |
산림사업 법인 등록기준 (1) | 2022.09.29 |
산림기술자 종류, 자격요건 및 업무 (1) | 2022.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