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정보/기계5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 자동화 기술과 시너지를 내는 3가지 방법 3,000만 원짜리 로봇이 냉동창고를 점검하는 시대. 그런데도 ‘사람’이 꼭 필요한 분야가 있습니다.바로 공조냉동기계기사처럼, 자동화 기술과 현장 숙련이 함께 작동해야 하는 영역이죠.스마트 팩토리, 무인빌딩, 원격제어 시스템. 세상은 분명 자동화되고 있지만, 공조기술자는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AI와 로봇 기술을 아는 기술자가 새로운 기회에 가장 먼저 도달하고 있습니다.지금부터, 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이 자동화 시대에 어떤 방식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 왜 아직도 중요한가?자동제어와 HVAC 시스템: 기계만으로 안 되는 영역AI와 IoT 기술을 아는 기사, 현장에선 ‘귀한 몸’자동화와 협력하는 공조 기술자의 역할 변화지금 준비하면.. 2025. 5. 16.
한눈에 보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 기준 정리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 직무, 성능점검과 관련한 내용을 총정리하고자 다음과 같이 2편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첫번째.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 기준 정리 두 번째.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직무와 성능점검 (내용을 보시려면 클릭) 이 글은 첫 번째인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 등급,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다음 순서로 모두 정리하였습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의 대상 ┃ 건축물 규모에 따른 선임 자격 ┃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등급 ┃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선임을 위한 자격증 종류 및 경력 종류 ┃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선임 및 해임 절차 ┃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 관련 교육 ┃ 선임 및 교육 관련 위반시 조치 사항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의 대상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다음의 건축물의 연면적과 세대수에 따라서 선임해야 합니.. 2023. 12. 20.
한눈에 보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직무 및 성능점검 기계설비유지관리자 관련한 내용을 총정리 하고자 다음과 같이 2편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내용을 보시려면 클릭)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직무와 성능점검 이 글은 그 두 번째인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직무와 성능점검과 관련된 내용을 모두 정리해보았습니다. ┃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업무 1) 기계설비 유지관리지침서 구비 기계설비유지관리기준 제6조 2) 기계설비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 계획 수립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 제7조 제1항 3) 기계설비 유지관리 현황표 작성 및 관리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 제7조 제3항 및 별지 제1호 서식 4)-1 기계설비 유지관리 점검표를 반기별 1회 이상 작성/보존 4)-2 성능점검 대행시 업무지원 또는 자체점검 시 직접수행 (매년 1회 이상) 및 기록보존(10년) 기계설비 .. 2023. 12. 20.
기계설비법 정리(2) - 기계설비 유지관리자의 선임, 교육, 업무 오늘은 기계설비법 정리 2탄. 기계설비 유지관리자의 모든 것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기계설비를 운용하는 현장에서는 규모에 적합한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를 선임해야 합니다. 그에 따른 기계설비 유지관리자의 선임 대상, 선임 기한, 선임 자격, 교육 및 해당 업무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자의 선임 배치 이제는 건축물의 기계설비의 업무를 위해서 해당 현장에 맞는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합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등과 함께 이제는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도 시설관리 업무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1. 관련기관 : 국토교통부, 특별자치ㆍ특별자치도ㆍ시ㆍ군ㆍ구청 2. 선임 신고기관 : 특별자치ㆍ특별자치도ㆍ시ㆍ군ㆍ구청 3. 선임 대상 및 시기(규칙 제8조, 별표) 구 분 .. 2021. 8. 29.
기계설비법 정리(1) - 신·증축 공사에 따른 착공 전 해야할 사항 기계설비법이 신설되면서 기계공사의 측면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할 사항은 착공 전의 설계도서 확인 부분과 공사 후 사용전 검사입니다. 전기설비공사와 마찬가지로 기계설비 또한 기계설비법의 신설로 설계도서를 확인하고, 사용전 검사를 받아야만 최종 준공을 할 있게 되었습니다. 이 두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착공 전 설계도서 확인 착공 전 설계도서를 확인하는 것은 기계설비공사 착공 전 설계도서 확인을 통해 기계설비 시공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사용자에게 우수한 품질의 기계설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1. 관련기관 : 국토교통부, 특별자치시ㆍ특별자치도ㆍ시ㆍ군ㆍ구청 2. 대상 : 연면적 3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등(영 제 11조, 별표 5) 3. 시행시기 : 영 시행(2020.04.18.) 이후 .. 2021.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