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0

검사대상기기 관리대행기관 지정요건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별표 3의10] 검사대상기기 관리대행기관 지정요건(제31조의29제1항 관련) 장비 기술인력 장비명 보유 대수 1. 급수유량계 2. 급유유량계 3. 가스분석기 (CO2, O2, CO) 4. 열전대온도계(0~1,500℃) 5. 표준온도계 6. 표면온도계 7. 매연측정기 8. 스톱워치 9. 증기압력계 10. 수질분석기 11. 증기건도측정기 3대 이상 3대 이상 5대 이상 2대 이상 3대 이상 3대 이상 1대 이상 5대 이상 3대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계, 금속, 화공 및 세라믹, 전기 또는 에너지 분야 기술사 1명 이상 2. 제31조의26 및 별표 3의9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자 및 인정검사대상기기관리자 각 5명 이상 검사대상기기 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되려면 해당분야 기술사 자격 1명 + 검사.. 2021. 5. 25.
검사대상기기관리자의 자격 및 조종범위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별표 3의9] 검사대상기기관리자의 자격 및 조종범위(제31조의26제1항 관련) 관리자의 자격 관리범위 에너지관리기능장 또는 에너지관리기사 용량이 30t/h를 초과하는 보일러 에너지관리기능장, 에너지관리기사 또는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용량이 10t/h를 초과하고 30t/h 이하인 보일러 에너지관리기능장, 에너지관리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또는 에너지관리기능사 용량이 10t/h 이하인 보일러 에너지관리기능장, 에너지관리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에너지관리기능사 또는 인정검사대상기기관리자의 교육을 이수한 자 1. 증기보일러로서 최고사용압력이 1㎫ 이하이고, 전열면적이 10제곱미터 이하인 것 2. 온수발생 및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로서 용량이 581.5킬로와트 이하인 것 3. 압력용기 비고 1. 온수발생 및 열매체를 가열하는 .. 2021. 5. 25.
보험가입대상 제조업자의 검사시설 및 기술인력 보유기준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규칙 [별표 3의8] 보험가입대상 제조업자의 검사시설 및 기술인력 보유기준 (제31조의13제1항제4호나목 관련) 구분 보유대수 및 인원 1. 검사시설 가. 만능재료시험기 나. 수압시험기 다. 수질분석설비 라. 가스분석기 마. 치수측정기 바. 표면온도계 사. 초음파두께측정기 아. CO/CO2측정기 자. 가스누설검사기 차. 기밀시험설비 카. 연소효율측정기 타. 안전밸브시험기 용량10톤 이상의 것 1대 이상 2MPa 이상의 것 3대 이상 산도·경도·염산이온 및 인산이온의 분석이 가능한 것 1대 이상 3성분(CO,CO2,O2) 이상 분석가능한 것 1대 이상 버니어캘리퍼스 및 마이크로미터 1식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1대 이상 2. 기술인력 가. 4년제 대학에서 이공계학과를 졸업한 자 또.. 2021. 5. 25.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기준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령 [별표 2]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기준(제30조제2항 관련) 구분 내용 기준 장비 1. 적외선 온도계 1대 이상 2. 데이터 기록계 1대 이상 3. 온도·습도계 1대 이상 자산 법인 자본금 2억원 이상 개인 자산평가액 4억원 이상 기술 인력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축, 기계, 재료, 화공, 전기·전자, 정보통신, 에너지 또는 가스 분야의 기사 3명 이상 비고 1. 법인인 경우 자본금은 납입자본금을 말하며, 납입자본금과 최근 1년 이내에 작성된 대차대조표상 자본총계(실질자본금으로서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나머지를 말한다)가 모두 등록기준의 자본금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주식회사 외의 법인인 경우 자본금은 출자금으로 한다. 2. 개인인 경우 자본금은 자산평가액으로 하되, 자산평가액은 등록된 사업에 제공되는 자산의.. 2021. 5. 25.
에너지관리 기사 (Engineer Energy Management)의 전망, 연봉, 취업, 자격증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에너지관리기사와 에너지관리기사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에너지관리기사 자격증은 자체만으로도 필수 자격증인 곳이 있지만, 취업 시 우대 자격증으로도 많은 인기가 있는 자격증입니다. 최근 기계설비법 도입으로 인해서 더욱더 활용도가 높아져 가치가 좀 더 상승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에너지관리기사와 관련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에너지 관리 종사자의 현황과, 연봉, 전망 등을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또한, 에너지관리기사 자격증의 일정, 과목 등의 일반적인 정보와 에너지관리기사의 관계법령에 따른 자격증의 역할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I 에너지관리기사에 관하여 II I 에너지관리기사? 에너지기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에너지관리기사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 2021. 5. 25.
건설기술인 교육·훈련의 종류·시간 및 내용 등 -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별표 3]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별표 3] - 건설기술인 교육·훈련의 종류·시간 및 내용 등(제42조제2항 관련) 1. 교육·훈련의 종류 가. 기본교육: 건설기술인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직업윤리, 소양, 안전과 건설기술 관련 법령 또는 제도 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 나. 전문교육: 건설기술인이 수행하는 건설기술 업무를 설계·시공 등, 건설사업관리 및 품질관리로 구분하여 해당 건설기술 업무에 대한 전문기술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음의 교육 1) 최초교육: 건설기술 업무를 처음으로 수행하려는 경우 받아야 하는 교육 2) 계속교육: 건설기술 업무를 일정기간 이상 수행한 건설기술인이 해당 건설기술 업무를 계속하여 수행하려는 경우 받아야 하는 교육 3) 승급교육: 현재의 건설기술인 등급보다 높은 등급을 받으려는.. 2021. 5. 22.
건설기술용역업 등록요건 및 업무범위 -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 [별표 5] 건설기술용역업 등록요건 및 업무범위(제44조제2항 관련) 전문분야 세부분야 기술인력 사무실ㆍ시험실 및 장비 자본금 업무범위 종합 종합 1. 특급기술인 2명을 포함한 건설기술인 15명 이상 2. 다음 각 목의 품질검사(일반) 기술인력 이상 가. 토목품질시험기술사 및 건축품질시험기술사 각 1명 이상 나. 건설재료시험기사 2명 이상 및 화공기사 1명 이상 다.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또는 건설재료시험기능사 2명 이상 1. 업무 수행에 필요한 사무실 2. 품질검사(일반)의 시험실 3. 품질검사(일반)의 시험장비 2억원 이상 1. 설계등용역업무 2. 건설사업관리업무 3. 품질검사업무 설계ㆍ 사업관리 일반 특급기술인 2명을 포함한 건설기술인 15명 이상 업무 수행에 필요한 사무실 2억원 이상 1. 설계등용역업무 2. .. 2021. 5. 22.
2021년도 기사/산업기사 자격증 일정 기사시험 일정 산업기사 시험일정 2021. 5. 22.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시행령 [별표2] - 엔지니어링기술자 ▣ 기술계 엔지니어링 기술자 기술사 - 기술사자격 특급기술자 - 기사 +10년, 산업기사 +13년 고급기술자 - 기사 +7년, 산업기사 +10년 중급기술자 - 기사 +4년, 산업기사 +7년 박사학위, 석사 +3년, 학사 +6년, 전문학사 +9년 초급기술자 - 기사, 산업기사 +2년 - 석사, 학사, 전문학사 +3년 ▣ 숙련계 엔지니어링 기술자 고급숙련기술자 - 기능장, 산업기사 +4년, 기능사 +7년, 기능사보 +10년 - 기능대 또는 전문대 +5년 중급숙련기술자 - 산업기사, 기능사 +3년, 기능사보 + 5년 - 기능대 또는 전문대 +1년, 고등학교 + 4년, 직업훈련기관 + 6년, + 10년 경력 초급숙련기술자 - 기능사, 기능사 +2년 - 고등학교 +1년, 직업훈련기관 + 1년, 경력 5년 ▣ 참고자료 2021. 5. 22.
건축 기사(Engineer Architecture)의 전망, 연봉, 취업현황, 자격증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축기사와 그리고 건축기사 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건축기사와 관련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건축기술자의 현황과, 연봉, 전망 등을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또한, 건축기사 자격증의 일정, 과목 등의 일반적인 정보와 건축기사의 관계법령에 따른 자격증의 역할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I 건축기사에 관하여 II I 건축기사? 건축기사는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건축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로써, 건축물의 용도, 경제적 비용, 주변환경 등에 대한 계획에서부터 공간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시공과정까지 건축물 탄생의 전 과정에 관한 공학적인 지식 및 기술을 가진 자를 말합니다. 건축기사 자격증은 많이 따는 자격증 '5위'로써, 건설 쪽에 계신 분들은 .. 2021. 5. 21.